![](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97A9E474DD571A12B)
기간 : 2009.6.24 ~ 2009.6.24 (1일)
컨셉 : 30일간의 미국/캐나다 서부 자동차 캠핑여행
경로 : Artists Paintpots → Norris Geyser Basin
옐로스톤(Yellowstone) 국립공원 관광 3일째, 오늘은 텐트에서 2박을 한 매디슨(Madison)의 캠핑장을 떠나서 캐년빌리지(Canyon Village)에 예약한 라지로 이동하는 날이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27A9E474DD571A32C)
약 55km의 이동 중간에 북쪽 맘모스핫스프링스(Mammoth Hot Springs)로 올라가는 길이 갈라지는 노리스(Norris) 삼거리가 나오는데, 여기에도 아주 유명한 가이서가 있다.
(구글맵으로 지도를 보시 여기려면를 클릭)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37A9E474DD571A32D)
먼저 들린 여기는 Norris 직전에 있는 아티스트페인트팟(Artists Paintpots)이라는 곳인데, 저 멀리 산 아래쪽에 보이는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언덕까지 걸어올라왔다. 저 아래 산책로 주변으로도 작은 풀과 연기를 뿜는 화산지형이 있지만,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67A9E474DD571A52E)
산중턱까지 올라오면 이렇게 거대한 진흙이 부글부글 끓고 있는 '미술가의 페인트통'이 나온다. 산책로 난간에도 자국이 보이지만, 가끔 큰 거품이 올라와 터질때는 구경하는 사람들에게까지 진흙이 튈 정도였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97A9E474DD571A72F)
노리스가이서베이슨(Norris Geyser Basin)의 입구이다. 같은 가이서들이기는 하지만, 올드페이스풀 지역과는 또 다른 풍경을 보여주는 곳이므로, 지나가는 길이라면 꼭 들리시기를 바란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87A9E474DD571AA30)
작은 박물관(Museum)을 중심으로 북쪽으로는 Porcelain Basin을 한바퀴 돌아보는 Trail이 있고, 남쪽으로는 기다란 Back Basin Trail이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07A9E474DD571AB31)
이 단칸 통나무집은 서점인데, 저 작은 통나무집안에 책이 빼곡히 있는 모습이 참 인상적이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27A9E474DD571AC32)
여기 박물관은 화산지형이 만들어지는 원리에 대해서 주로 설명을 해 놓았다. 이 그림은 간헐천(geyser), 분기공(steam vent), 온천호수(pool, spring), 그리고 머드팟(mudpot)이 생기는 원리를 보여주고 있는데, 저렇게 땅속으로 스며든 눈이나 비가 다시 데워져서 땅 밖으로 나오는데는 4~5백년이 걸린다고 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37A9E474DD571AC33)
박물관을 나오자마자 내려다 보이는 Porcelain Basin의 외계행성같은 풍경~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67A9E474DD571AE34)
먼저 언덕을 따라 만들어진 산책로를 조금 걸어올라갔다. 뒤로 보이는 파란 온천호수들의 이름은 Colloidal Pool이라고 하는데, 콜로이달... 콜로이드... 옛날 학교에서 들어본 말 같기는 한데, 가물가물...^^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77A9E474DD571B035)
그 다음에 우리도 분지(basin)의 바닥으로 내려왔다. 미지근한 물에 사는 녹조류 때문에 온천수가 흘러나가는 길은 녹색으로 보이는 것이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07A9E474DD571B236)
한바퀴 빙 돌고는 다시 저 언덕위에 보이는 박물관으로 돌아갔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37A9E474DD571B437)
이번에는 남쪽의 Back Basin으로 간다. 끝까지 걸어가는 것은 아니고, 바로 세계에서 가장 높이 분출한다는
스팀보트가이서(Steamboat Geyser)를 보기 위해서이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67A9E474DD571B638)
어제 갔던
블랙샌드베이슨(Black Sand Basin)에는 Emerald Pool이 있었는데, 이것은 또
에머랄드스프링(Emerald Spring)이다. 이 많은 온천호수들에 일일이 다른 이름을 붙이는 것도 쉽지 않았나 보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77A9E474DD571B639)
스팀보트가이서는 그 가공할 위력 때문에 초토화된 바위들 주변으로 아주 멀찍이 난간이 설치되어 있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77A9E474DD571B83A)
"Learning to Love the Unpredictable"이라는 말이 참 재미있었다...^^ 이 가이서는 한 번 제대로 분출하면 물기둥의 높이가 90~120m에 이른다고 하는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간헐천이다. 하지만, 문제는 언제 분출할지는 아무도 모른다는 것! 예측불가능(unpredictable)...^^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77A9E474DD571BA3B)
크기를 알 수 없는 구멍에서 쉴 새 없이 물기둥이 사람키높이로 솟아오르고 있다. '터져라~ 터져라~'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97A9E474DD571BB3C)
"어제
캐슬가이서(Castle Geyser)도 내가 기다려보자고 하니까, 조금 있다가 터졌잖아~ 그러니까, 이것도 내가 보고 있으면 터질거야. 여기서 기다리자~" 지혜의 말이다. 그러나, 옆을 보니...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27A9E474DD571BD3D)
마지막으로 제대로 터진 날은 이 때로부터 무려 4년전... 역설적으로 그 만큼 오랫동안 안 터졌으니까, 곧 터질 수도 있다는 것 같기도 하고... 예측불가능을 사랑하는 것은 너무 어렵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47A9E474DD571BE3E)
엄마가 이제 그만 가자고 손을 끌어도, 난간을 꽉 붙잡고 (다리까지 난간에 올리고) 안 가겠다는 지혜의 뒷모습~ 자기가 기다리고 있으면 꼭 터질거라고...^^ 이 2009년의 30일여행으로부터 2년이 다 되어가는 지금 2011년 5월까지도 Steamboat Geyser는 잠잠하단다~ 지혜 말 듣고 기다렸으면 큰일날뻔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34ED6564D9A4C9C01)
아래 배너를 클릭해서 위기주부의 유튜브 구독하기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ADA94B5F64D33B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