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관과 공연장

공작새방, 피콕룸(Peacock Room)이 유명한 국립 아시아 미술관의 프리어 갤러리(Freer Gallery of Art)

위기주부 2022. 2. 19. 00:46
반응형

미국 스미소니언 박물관들의 비지터센터인 '캐슬(The Castle)'을 나와서 워싱턴DC 지역의 주민이 된 후에 처음으로 방문하는 새로운 미술관은, 약 백년 전에 오로지 찰스 랭 프리어(Charles Lang Freer) 한 사람의 기부와 수집품으로 세워졌던 곳인 프리어갤러리오브아트(Freer Gallery of Art)였다.

캐슬의 바로 서쪽에 있는 이 프리어 갤러리는 1923년에 완공되어서, 캐슬을 제외한 박물관들 중에서는 예술산업관과 자연사박물관 다음으로 스미소니언 재단에서 오래된 건물인데, 당시 건축비 약 1백만불도 전액 프리어의 돈으로 충당했다고 한다. (구글맵으로 위치를 보시려면 클릭)

입구에는 아래에 다시 등장할 한 여인의 전신초상과 함께 국립 아시아 미술관(National Museum of Asian Art)이라는 배너가 걸려있는데, 이어지는 별도의 포스팅으로 소개할 지하로 연결된 다른 건물과 함께 아시아 미술을 소개하는 스미소니언 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건물은 중정(Courtyard)을 가지는 'ㅁ'자형의 구조로 내셔널몰(National Mall)의 북쪽 입구로 들어가면, 계단을 올라가서 우측 1번 전시실부터 한바퀴 돌면서 둘러보면 되는 단순한 구조이다. 그런데 우리는 아래층에서 헤매다가 남쪽 입구까지 가서 계단을 올라오는 바람에 10번 전시실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구경을 하게 되었다.

계단을 올라와서 제일 먼저 마주친 것은 코트야드 공사를 하고있다는 안내판이었다. 내년 2023년에 개관 100주년이 되는 것을 기념해서 정원을 새로 꾸미는 것인데, 그래서 정원과 좌우로 붙어있는 5번과 13번 전시실은 폐쇄된 상태였다.

유리창으로 내다보니 이렇게 이제 나무판으로 건물을 보호하고 공사를 시작하는 단계라서 올해 안에 끝날 것 같지는 않아 보였다. 당연히 내년 개관 100주년 기념식 전에는 완성이 될 테니까, 분명히 다시 와서 멋진 중앙정원의 모습을 직접 볼 날이 올 것이라서 아쉬움은 없었다. "나, 이 동네에 살아~"

강수지의 <보라빛 향기> 노랫소리가 들리는 듯한 첫번째 전시실에는 의외로 현대적으로 채색된 도자기들과 함께 몽환적인 서양화들이 걸려있었다. 앞서 보여드린 미술관 지도에도 'America'로 표시되어 있는 이 방은, 프리어가 아시아 미술품들과 함께 기부했던 19세기말 미국 화가들의 그림이 걸려있는데, 이에 관한 스토리는 포스팅의 마지막에 다시 설명드린다.

그 옆으로 12번 구석방에 이 갤러리에서 가장 유명한 전시인 원제 Harmony in Blue and Gold: The Peacock Room, 즉 '공작새의 방'이 나온다. 이 방은 원래 영국의 해운업자로 중국의 도자기를 수집했던 Frederick R. Leyland의 런던 저택의 거실로 1877년에 만들어졌는데, Leyland 사후 1904년에 프리어가 방을 통째로 사서는 미국 디트로이트에 있던 자신의 집으로 옮겼다가, 1919년에 그가 죽자 재단에서 지금 미술관으로 다시 옮겨온 것이다. 이 방을 꾸민 사람은 19세기 유명한 미국 화가인 제임스 맥닐 휘슬러(James McNeill Whistler)로 가운데 걸려있는 여인의 그림을 그린 사람인데,

건축가와 집주인이 자리를 비운 사이에 자기 마음대로 방 전체를 파란색(정확히는 어두운 청록색)으로 칠하고 금박으로 공작새들을 천정과 왼편에 보이는 세로로 길쭉한 창문 가리개 등에 그려넣었다고 한다. 나중에 돌아온 집주인은 마음에 안 든다고 노발대발해서 화가와 대판 싸웠고, 그 와중에 휘슬러는 가운데 보이는 두 마리의 공작새가 싸우는 Art and Money: or, The Story of the Room 제목의 그림까지 추가로 그려넣고는 결국 쫓겨났다고 한다.

지금 벽면에 아슬아슬하게 빼곡히 전시된 청화백자들은 대부분 Leyland의 당시 수집품들인데, 혹시 큰 지진이라도 나면 다 떨어질 것 같아서, 바닥을 단단히 붙여놓았을 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놀라운 사실은 이 방과 도자기를 통째로 디트로이트로 옮겨갔던 Freer는 백자보다는 청자같이 색깔이 들어간 도자기를 좋아했기 때문에, 자신이 직접 수집한 청자들로만 다시 벽면을 채웠다고 한다. 그래서 지금 미술관에서는 주기적으로 Leyland의 백자와 Freer의 청자를 바꿔가면서 전시를 한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운이 나빠서 교체 시기에 방문하면 도자기들이 전혀 없는 경우도 있단다.

나가기 전에 입구쪽에 걸려있던 휘슬러가 그린 여인을 다시 바라본다. 그림의 제목이 The Princess from the Land of Porcelain <도자기의 나라에서 온 공주>인데, 좌우의 백자들은 중국산이지만 여인은 기모노를 입은 일본풍으로 그려져 있다. 한가지 더 피콕룸(Peacock Room)에 관한 정보를 알려드리면, 매달 세번째 목요일의 오후에는 공작이 그려져 있는 3개의 창문 가리개를 모두 열어서 자연광이 들어오는 상태에서 내부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단다.

다음은 한국 도자기만을 모아둔 14번 전시실인데, 프리어 사후 미국정부에 기증된 그의 수집품 전체 9,500점 중에서 약 450점이 'Korea'의 미술품이었다 한다. 그 중 아주 일부만 이 전시실에서 소개가 되고있는 것인데,

이렇게 거의 국보급이라고 할 수 있는 12세기에 만들어진 고려청자도 다수가 포함되어 있다. (고려시대 918~1392년 사이에 제작된 전체 162점의 사진들은 여기를 클릭해서 보실 수 있음)

중국 도자기 전시실에서 귀여운 작은 찻잔과 그릇들만 모아놓은 전시를 아내가 보고있다. 대부분 3~400년은 된 도자기들인데도 왼편에 보이는 빨간 찻잔 같은 것은 금방 행남자기 공장에서 만든 것처럼 유약의 광택이 완전히 살아있는 것이 신기했다.

17~19번 방에는 중국의 불상들과 장신구 등의 다양한 조각과 공예품들이 전시가 되어 있었다.

중정의 북쪽을 동서로 잇는 복도의 양쪽 끝에는 일본에서 가지고 온 나무로된 조각상이 한 명씩 세워져 있었다. 이제 오른편의 인도와 중동의 물품들을 구경한 후에 다시 나와서 왼편의 일본 전시실로 가면 된다.

동아시아와는 확실히 다른 느낌의 인도와 그 주변 지역에서 만들어진 조각상들과 이슬람 문화권의 미술품들을 함께 구경할 수 있었다.

14세기 네팔에서 나무로 만들어진 조각상이라고 하는데, 네 팔이 아니고 여섯 팔이다... (썰렁한 아재개그~^^) 힌두교의 무슨 신인지 모르겠는데, 일단 작품의 제목의 단어들이 엄청나게 길고 외우기 어렵다. Bodhisattva White Avalokiteshvara (Amoghapasha Lokeshvara)

일본 전시실은 도자기나 불상보다는 그림이 주를 이루는데, 에도시대에 활약한 대표적인 목판화가인 가쓰시카 호쿠사이(Katsushika Hokusai, 1760~1849)의 작품들을 다수 소장하고 있다. 프리어 갤러리가 소장하고 있는 그의 작품으로 가장 유명한 것은 미술관 입구에 배너로도 걸려있던 Breaking Waves인데, 아쉽게도 내부 보수중이라서 직접 감상을 할 수는 없었다.

호쿠사이라는 화가의 이름이나 일본 목판화를 뜻하는 우키요에(Ukiyoe, 浮世絵)라는 말을 전혀 모르시는 분이라도, 위 사진 아래에 있는 2024년부터 유통될 예정의 일본 천엔권 지폐의 뒷면에 사용된 <가나가와의 거대한 파도> The Great Wave off Kanagawa 그림은 적어도 한 번은 보셨을거다.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일본인의 그림으로는 고금을 막론하고 전세계에서 가장 유명하다고 할 수 있는데, 19세기 유럽 문화계에도 큰 파도를 일으켜서 고흐와 모네 등 인상주의 화가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은 물론이고, 작곡가 드뷔시가 이 그림을 보고 교향곡 <바다> La Mer를 작곡한 사실도 유명하다. 여기 프리어 미술관이 보유한 호쿠사이의 그림들은 내년에 다시 와서 직접 보기로 하고, 이제 마지막 전시실로 들어간다.

찰스 랭 프리어(Charles Lang Freer)는 1854년에 뉴욕에서 가난한 집안의 6남매중 셋째로 태어나서, 중학교도 다 마치지 못하고 시멘트 공장에서 일을 시작했단다. 그러나 그의 총명함을 알아본 관리자의 비서로 발탁되어 결국은 동업자가 되었고, 철도건설 사업을 거쳐서 1885년에 디트로이트로 가서 기차(railcar)를 제작하기 시작했는데, 불과 45세인 1899년에 미국 최대 기차 제작사의 공동 소유주가 되었다. 그 전후로 미술품 수집과 유럽여행을 시작해서, 당시 런던에서 활동하던 미국화가 휘슬러를 만나서 친구가 되었고 (왼편이 휘슬러가 그린 프리어의 초상화), 처음 보여드렸던 약간 뿌옇고 몽환적인 느낌의 토널리즘(Tonalism, 색조주의) 화가들의 후원자가 되었다. 평생 독신으로 살았던 프리어는 1906년에 미국인으로서는 최초로 자신의 모든 수집품을 정부에 무상으로 기증하기로 하고, 건축 비용까지 전액 부담을 해서 1916년에 미술관 건설이 시작되었지만, 자신의 이름을 딴 프리어 갤러리의 완성을 보지 못하고 1919년에 65세로 사망했다.

휘슬러의 Venus Rising from the Sea 그림과 16~17세기경 시리아에서 만들어진 단지(jar)를 나란히 놓고 바라보는 프리어의 흑백사진 앞에 실제 그 두 작품이 유리벽 안에 놓여있었다. 앞서 초상화 오른편의 "The Power to See Beauty" 제목의 안내판을 읽어보면, 지금 프리어가 다른 문화의 두 작품을 놓고 'cross-cultural interchange'를 통한 아름다움을 바라보는 것 같다... 여기 프리어갤러리를 시작으로 앞으로 많은 워싱턴DC의 미술관들을 새로 방문할 예정인데, 과연 나에게도 그가 말한 그런 "아름다움을 보는 힘"이 있을까?

 

 

아래 배너를 클릭해서 위기주부의 유튜브 구독하기를 눌러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