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도시관광기/볼티모어

미국 국가(國歌)의 가사가 만들어진 장소인 볼티모어 포트맥헨리(Fort McHenry) 준국립공원 및 역사성지

위기주부 2024. 11. 13. 09:52
반응형

메릴랜드 주의 최대 도시인 볼티모어(Baltimore)는 워싱턴DC를 중심으로 한 미국 광역수도권의 대표적인 항구도시로, 쉽게 말해서 한국의 인천에 해당하는 곳이라 할 수 있다. (한국의 자매도시는 의외로 경상남도 창원) 그렇게 지금 사는 곳에서 1시간 거리의 가까운 곳이지만, 뉴욕까지 운전할 때마다 뮤지컬 <헤어스프레이>의 '굿모닝 볼티모어' 노래를 들으며 지나가기만 할 뿐, 지난 3년동안 전혀 발길이 닿지 않았던 곳인데, 이번에 처음으로 아내와 함께 여행하며 도심의 두세곳을 둘러보았다.

볼티모어 항구의 가운데로 튀어나온 반도의 끝에는 1798년부터 건설이 시작돼 1805년에 완공된 별모양(star-shaped)의 요새가 있는데, 메릴랜드 대표로 미국 헌법에 서명했던 당시 전쟁장관 James McHenry를 기려 포트 맥헨리(Fort McHenry)로 명명되었다. 이 곳은 인공적인 구조물로는 최초로 1925년에 미국의 내셔널파크(National Park)로 일찌감치 지정이 되었다가,

은색 비지터센터의 외벽에 길게 씌여진 것처럼 1939년에 포트맥헨리 국가기념지 및 역사성지(Fort McHenry National Monument and Historic Shrine)라는 특별한 이름으로 재지정이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우리는 비지터센터를 통과해서 바로 역사적인 요새로 향했는데, 매일 오전 10시에 진행되는 국기교체식(Flag Change)에 참가하기 위해서였다.

풀밭 너머 붉은 벽돌로 만든 요새 위로 높이 휘날리는 성조기가 보이고, 안내판에는 여기 게양되는 네가지 크기의 깃발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구글맵으로 위치를 보시려면 클릭)

날씨가 흐려서 우리도 아침에 올까말까 망설이다 늦었는데, 그래서 요새 안에 만들어진 게양대 주위에 기다리고 있는 사람은 대여섯명에 불과했다. 바닷바람이 굉장히 차가웠기 때문에, 오각형의 요새 안쪽을 빙 돌아서 만들어진 막사 건물들 내부의 전시를 기다리는 동안 잠깐 구경을 하기로 했다.

요새가 완공되었을 때 처음 걸린 성조기는 버몬트와 켄터키가 추가된 15개 주(state)를 상징하는 15개의 별이 그려진 것은 쉽게 알 수 있는데, 자세히 세어보면 흰색과 빨간색의 줄도 15개로 같이 늘렸다! 하지만, 이 다음에 한꺼번에 5개의 주가 더 추가되어 20개가 되니까 줄을 가늘고 촘촘하게 같은 수로 늘리는 것은 모양상 별로라고 판단이 되어서, 줄은 최초의 13개주 상징으로 원복하고 향후 별의 갯수만 맞춰서 늘리기로 했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다.

10시가 되어 연세 지긋하신 파크레인저가 나와서 국기교체식을 진행하기 시작하셨다. 이 다음날 월요일이 11월 11일로 한국에서는 빼빼로데이지만 미국에서는 '참전용사의 날' 베테랑스데이(Veterance Day)였는데, 그 유래가 제1차 세계대전의 종전을 기념한 것에서 시작했다. 그래서 날씨만 좋았으면 직전 주말에는 보통 수십명이 참석을 하는데, 오늘은 궂은 날씨 때문에 인원이 적어서 아쉽다고 하시며, 뒤에 접어서 놓아둔 성조기를 함께 펼치자고 했다.

이 주간은 특별히 베테랑스 데이를 기념해서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사용된 디자인으로 48개의 별이 그려진 성조기를 게양했는데, 제일 아래쪽에 손이 보이는 우리 부부도 함께 깃발을 들었다.^^

우리들 손에서 놓여진 성조기가 밧줄에 매달려 올라가고 있는데 특이한 점은...

밤새 걸려있던 작은 깃발이 내려오는 동시에 새 깃발이 올라갈 수 있도록 게양대를 특수하게 이중으로 만들어 놓았다는 사실이다. 그 이유는 1948년 트루먼 대통령의 행정명령에 따라 맥헨리 요새는 바람이 극심한 경우를 빼고 24시간 성조기가 게양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 곳이 미국에서 유일하게 '역사적 성지(Historic Shirine)'라는 칭호를 받으며 이런 특별대접을 받는 이유는 나중에 자세히 알려드린다.

하강하는 국기를 제1차 세계대전 당시의 미국 육군과 해군 복장을 한 자원봉사자들이 챙기는 모습으로, 제1차 세계대전 때 포트 맥헨리는 유럽에서 돌아온 부상병들을 치료하는 군사병원으로 사용되어 주변에 100채가 넘는 병동이 만들어졌었다고 한다. 나중에 우리가 둘러본 막사 한 곳에는 당시 의무장교와 간호사 복장을 한 사람들도 만나서 그 때 설명을 직접 들을 수도 있었다.

아내는 하강된 국기를 접는 것도 가서 도와줬는데, 같은 털모자를 쓴 3명은 함께 군대에서 복무했던 전우들로 매년 베테랑스 데이 직전 주말에 이 곳에서 다시 만나고 있단다! 이상으로 우리 부부에게도 의미있던 국기교체식 참가를 마치고 나머지 막사들의 전시를 둘러보는데, 좁은 문으로 들어갔다가 심각하게 책상을 짚고 우리를 노려보는 사람을 만나서 깜짝 놀랐다~

미국과 영국이 다시 맞붙어서 제2의 독립전쟁이라 불리기도 하는 '1812년 전쟁'이 발발하고 2년이 지난 1814년 9월, 워싱턴DC를 불태운 영국군이 볼티모어 점령을 위해 육지와 바다로 동시에 접근하는 상황에서, 요새 지휘관인 조지 아미스테드(George Armistead) 소령이 방어전략을 수립하는 모습이란다.

그렇게 전시를 다 둘러보고 나왔는데, 파크레인저가 15개의 별과 줄이 있는 그 당시 성조기를 또 방문객들과 함께 펼쳐 들고 열심히 설명을 하고 계셨다. 요새의 방어벽 위와 바깥쪽으로도 둘러볼 수 있는 트레일이 있지만, 쌀쌀한 날씨 때문에 그만 비지터센터로 돌아가기로 했다.

가는 길에 이 커다란 대포들만 잠깐 구경했는데, 이 곳은 볼티모어 항구의 한 가운데 위치한 전략적 중요성 때문에, 1925년부터 국립공원청 관리로 넘어갔지만, 국가 비상시에는 다시 국방부가 통제권을 가지게 된다. 그래서 제2차 세계대전 중에는 해안경비대가 다시 주둔하기도 했단다.

비지터센터 전시실에는 국가(國歌, National Anthem)와 애국심 등에 대한 내용이 가득한데, 여기 맥헨리 요새가 현재의 미국 국가 "별이 빛나는 깃발(The Star-Spangled Banner)"의 노랫말이 만들어진 장소이기 때문이다.

멀리 두 사람이 서있는 앞이 커다란 스크린인데, 정해진 시간마다 보여주는 짧은 영화의 내용인 즉슨... 위의 미영전쟁에서 영국이 요새를 공격하기 일주일 전에, 젊은 변호사인 프랜시스 스콧 키(Francis Scott Key)는 다른 군장교와 함께 영국 해군에 억류된 민간인의 석방을 위해 비무장한 배를 타고 영국 함대의 본진으로 가서 협상을 벌인다. 협상이 잘 진행되어 인질은 풀려났지만, 영국은 볼티모어를 총공격할거라는 사실을 아는 그들의 배가 떠나지 못하도록 붙잡아 두게 된다. 그리고는 9월 13일 새벽부터 다음날 아침까지 25시간 동안 무려 2천발에 가까운 폭탄과 로켓으로 맥헨리 요새를 공격했는데...

조국의 땅으로 퍼붓는 대영제국의 엄청난 화력을 안타깝게 적진에서 바라봐야만 했던 그가, 14일 아침에 맥헨리 요새에서 굳건히 계속 펄럭이는 성조기를 바라보는 가장 유명한 상징적인 그림이다. 그는 바로 가지고 있던 종이에 그 감동을 시(詩)로 쓰기 시작했고, 이틀 후 볼티모어로 돌아가서 4연으로 된 "맥헨리 요새의 방어(Defence of Fort McHenry)"를 완성해 신문에 기고한다. 그 후 사람들이 유명해진 그의 시를 영국에서 유래한 권주가 "천국의 아나크레온에게(To Anacreon in Heaven)"에 맞춰서 부르기 시작했고, 결국은 그 노래가 1931년에 공식적으로 미국의 국가로 채택이 되었다.

영화에서는 사실적으로 망원경을 통해 국기를 확인하는 모습으로 나오는데, 그럴만 한게 영국 공격선들이 요새를 방어하는 대포의 사거리 밖인 1.5마일 이상 떨어진 곳에서 포격을 했고, 키 일행이 탄 배는 훨씬 더 뒤쪽의 영국 함대 본진에 있었기 때문에, 깃발이 아무리 컸다고 해도 육안으로는 잘 보이지 않았을 거란다. 당시 실제로 휘날렸던 세로 30피트, 가로 34피트의 200년 이상 된 깃발은 아미스테드 소령의 후손이 보관하다가 스미소니언 재단에 기증을 해서, DC의 국립 미국사 박물관 암실에 전시가 된 모습은 여기를 클릭해 예전 방문기에서 보실 수 있다.

극장 바닥까지 이용해서 성조기의 물결을 만들며 영화가 끝난 후에, 아래와 같은 가사의 미국 국가 1절 노래가 나오면서 갑자기 커다란 스크린이 위로 올라가면,

O say can you see, by the dawn’s early light,
What so proudly we hail’d at the twilight’s last gleaming,
Whose broad stripes and bright stars through the perilous fight
O’er the ramparts we watch’d were so gallantly streaming?
And the rocket’s red glare, the bombs bursting in air,
Gave proof through the night that our flag was still there,
O say does that star-spangled banner yet wave
O’er the land of the free and the home of the brave?

오, 그대는 보이는가, 이 새벽의 여명 사이로,
황혼의 미광 속에서 우리가 그토록 자랑스럽게 환호하였던
넓은 줄무늬와 밝은 별들이 이 치열한 전투 속에서
저기 성벽 위로 당당하게 휘날리고 있는 것이 보이는가?
로켓의 붉은 섬광과 창공에서 작렬하는 폭탄은
밤새도록 우리의 깃발이 그곳을 지켰음을 증명할지니
오, 말해주오. 성조기는 지금도 여전히 휘날리고 있는가?
자유로운 이들의 땅과, 용기 있는 자들의 고향에서!

비지터센터 창문 밖으로 포트 맥헨리와 그 위로 높이 게양되어 있는 성조기가 나타나는데, 아마 파란 하늘을 배경으로 가장 큰 크기의 개리슨플래그(Garrison Flag)가 제대로 펄럭이고 있었다면 감동백배였을 듯... 그리고, 이렇게 화면이 올라가면서 실물이 등장하는 연출은 우리 부부에게는 옛날 30일간의 캠핑여행에서 방문했던 세인트헬렌스(St. Helens) 화산의 추억을 떠올리게 만들기도 했다.

한 나라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두가지가 국기와 국가라고 볼 때, 미국의 국기인 성조기(Stars and Stripes)는 그 탄생지를 어디라고 딱 정하기가 애매한 반면에, 국가는 볼티모어 포트맥헨리(Fort McHenry)라는 확실한 위치가 있으므로, 여기가 국가적인 숭배의 장소로 손색이 없는 듯하다. 그래서 덩달아 성조기도 잔뜩 쌓아놓고 팔던 기념품 가게를 잠깐 구경하고는 볼티모어의 다른 관광지를 찾아 이동을 했는데, 이로써 마침내 위기주부가 거주하는 DMV 지역에 있는 5개의 준국립공원(National Monument)을 모두 방문한게 되었다.

 

 

아래 배너를 클릭해서 위기주부의 유튜브 구독하기를 눌러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