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히 다른 카테고리에 속하는 두 장소의 이름을 여행기 제목에 함께 쓰는 경우는 흔치 않은데, 부녀의 '따블' 생일축하를 위해 뉴욕 맨하탄을 방문한 다음날의 이야기를 그냥 하나로 끝내려 한다. 지난 겨울에 별볼일 없는 국립 공원들을 하나하나 찾아다니며 3일마다 무리하게 포스팅을 올렸던 부작용인지, 아니면 블로그에 공들여 여행기를 쓰는 것 자체에 회의감이 들어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랩탑을 열고 타이핑을 시작하는게 힘들었다. 여하튼 이 글은 시작을 했으니, 꺼져가는 불씨를 살리는 마음으로 부지런히 또 적어보자~

미국 뉴욕여행의 쇼핑성지라 할 수 있는 우드버리 아울렛(Woodbury Common Premium Outlets)의 위치와 매장지도 등의 구체적인 설명은 여기를 클릭해서 2년전의 방문기를 보시면 된다. 전날 밤에 숙소에서 입구에 해당하는 여기 마켓홀(Market Hall)까지 걸리는 시간을 계산할 때 9시에 문을 연다고 해서, 20분쯤 지나 도착을 했는데... 오전 9시에는 이 홀만 오픈을 하고 매장들은 10시가 되어야 문을 여는 것이었다! 그래서 30분 이상을 불꺼진 식당가 테이블에 앉아서, 조금 더 잘 수 있었는데 괜히 일찍 일어났다는 사모님의 푸념을 들어야 했다.^^

"10시 지났으니까 빨리 문 열어 주세요~" 이번 세번째 방문에서 확실히 느낀 것은 사진에 보이는 버버리, 토리버치, 마이클코어스 등의 명품매장은 우리 동네 프리미엄아울렛에도 모두 있지만, 그 각각의 매장들의 크기가 모두 집근처 보다는 두세배 이상이란 사실이었다. 따라서 조금 더 다양한 상품들이 전시되어 있고, 옷도 원하는 사이즈와 색상을 찾을 확률이 훨씬 높은 듯 했다.

우드버리가 미서부 LA의 데저트힐 프리미엄아울렛(Desert Hills Premium Outlets)과 쌍벽을 이루는 이유는 그 엄청난 규모와 함께 프라다와 구찌 매장이 있기 때문인데, 이번에 찾아보니 두 곳 외에 샌프란시스코, 올랜도, 토론토의 프리미엄아울렛들도 두 브랜드가 입점해 있단다. 아울렛 사진은 여기까지이고, 이 날은 자의반타의반으로 상기의 매장들 매출을 좀 올려주고는 마켓홀에서 점심을 사먹은 후에 아래쪽 뉴저지(New Jersey) 주에 있는 아직 못가봤던 국립 공원을 또 하나 찾아갔다.

질리지도 않는 국립공원청 로고가 붙은 기둥 위에는 Mary Ellen Kramer Park라 되어 있지만, 네비게이션에 입력한 장소는 패터슨 그레이트폴 국립역사공원(Paterson Great Falls National Historical Park)이었다. 애플맵에 그냥 공원 이름만 넣었더니 강물의 양쪽으로 만들어진 두 곳의 전망대 중에서 위쪽으로 길을 안내해서, 둘러보는 순서가 바뀐 감은 있지만 여기를 먼저 구경하기로 했다.

공원 게이트를 지나면 바로 전체 폭이 80미터나 되는 이름 그대로 제법 '그레이트'한 폭포의 윗부분이 보이는데, 문제는 사진으로는 전달되지 않는 악취가 심하게 난다는 것이었다! 예상치 못한 복병에 상당히 당황했지만, 그래도 일단 저 끝의 전망대까지는 가보기로 했다. (구글맵으로 위치를 보시려면 클릭)

패세이크 강(Passaic River)은 북부 뉴저지의 인구밀집 지대를 지나 여기 패터슨(Paterson)까지 흘러오고, 다시 많은 산업시설이 모여있는 뉴왁(Newark) 도심을 통과해 대서양과 만나는데, 현재 미국에서 가장 오염된 수역 중의 하나로 간주된단다. 또 사진에도 쓰레기들이 많이 보이듯이 패터슨 도시 자체가 거의 망해가는 느낌을 받았는데, 20년 가까이 미국에서 살며 방문한 장소들 중에서 도로 주변이 가장 지저분한 도시였다.

눈으로만 본다면 그 자체로 명승지가 될만한 장관임에는 틀림이 없고, 여러 갈래로 협곡으로 떨어지는 폭포의 낙차도 77피트(23 m)나 되어서 미동부에서 독보적인 나이아가라 폭포를 제외한다면 그 규모도 제법 큰 축에 속한다.
그레이트폴(Great Falls)의 전체 모습을 찍은 위의 영상을 클릭해서, 우리처럼 코를 막을 필요없이 편하게 감상하실 수 있다.

안 찍어도 된다고 했는데, 사모님께서 여기 와보자고 한 사람을 '똥물 폭포'와 꼭 함께 찍어놓겠다고 하셔서...^^

협곡 끝에는 송수관과 보행교가 나란히 만들어져 있지만, 다리는 안전에 문제가 있어서 건널 수 없도록 막아놓았다. 공원 홈페이지에 따르면 새로운 보행교를 만들 계획이었으나, 현재 완전히 진행이 중단된(pending) 상태라 공지되어 있다.

그렇다면 이 커다란 폭포가 왜 뜬금없이 '역사공원'으로 지정이 되었을까? 사진 제일 위쪽의 도로변 쓰레기 더미 사이에 주차한 차를 다시 몰고, 강 건너편 아래쪽에 큰 주차장과 함께 만들어진 Haines Overlook Park로 이동해서 설명을 드린다~

일요일이라 빠지는 차를 기다려 겨우 주차를 하고 돌아보니, 들어온 도로쪽에 국립 공원 간판이 잘 만들어져 있었다. 이 곳은 2011년에 국립역사공원으로 지정이 되었지만 별도의 비지터센터는 아직도 없는 상태이고, 도로 건너편의 간이 환영소(Welcome Center)도 현재는 폐쇄되어서 하루 한두번의 레인저 프로그램만 야외에서 운영이 되는 상황이다.

주차장과 연결된 광장에는 사실상 이 도시가 탄생하게 만든 인물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1778년에 이 폭포를 처음 찾아와 산업적 잠재력을 확인하고, 불과 34세의 나이로 미국의 초대 재무장관이 되고 2년 후인 1791년에 미국 최초의 국가산업단지를 여기에 건설한 그는 바로...

위기주부가 좋아하는 뮤지컬의 주인공이기도 한 알렉산더 해밀턴(Alexander Hamilton)이다. 그가 국가지원 개발기업인 '유용한 제조업 설립협회(Society for Establishing Useful Manufactures, SUM)'를 만들고, 워싱턴DC를 설계한 피에르 랑팡에게 폭포의 낙차를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로(raceway)를 설계하도록 해서, 1810년대에는 수력을 이용한 13개의 종이와 섬유 공장이 들어서게 된다.

그 후에는 증기 기관차 공장과 브로셔 지도에도 표시된 최초의 콜트(Colt) 권총 공장이 1830년대에 들어섰고, 1880년대부터는 미국 최대의 실크(silk) 생산지가 되었다. 그리고 폭포와는 별개의 발전소들이 건설되면서 중공업쪽으로도 계속 발전을 해서 미해군의 최초 잠수함이 여기서 만들어졌고, 1919년부터 라이트 형제의 비행기에 들어가는 엔진을 만드는 공장이 돌아가기 시작해서 제2차 세계대전까지 항공기 엔진을 대량 생산하기도 했단다.

폭포 옆의 절벽에 붙어 만들어진 건물은 1914년부터 가동된 수력 발전소로 지금도 전력을 생산하고 있단다! 그렇게 미국 제조업의 역사를 이어온 패터슨은 1950년대부터 거의 모든 공장들이 문을 닫으며 급속히 쇠락해서, 현재는 주민의 빈곤율이 25%에 이르는 미국에서 가장 가난한 도시들 중의 하나로 전락하게 되었다.

이상과 같은 초기 산업화의 역사와 커다란 폭포의 풍경만 따지면 참 멋진 곳인데... 강물 위의 하얀 것들이 전부 오염된 거품이고, 여기도 악취가 심하게 나서 수집하는 브로셔를 구해볼 생각도 전혀 안하고 바로 자리를 떴다. 이 곳의 이름을 듣고 처음에는 LA에 있는 피터슨(Petersen) 자동차 박물관을 떠올렸지만 스펠링이 다르고, 어디서 들어봤다 했더니 아래 영화의 배경이 된 도시인 동시에 주인공의 이름이었다.

짐 자무쉬 감독의 2016년작 영화 <패터슨>은 그 도시의 시내버스 운전기사로 일하는 아마츄어 시인 '패터슨'의 평범한 일주일을 잔잔하게 그렸다. 위기주부가 이 영화를 기억하는 이유는... 위 사진에 앉아있는 남자 주인공이 그 전해에 개봉한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의 '카일로 렌' 역을 맡았던 애덤 드라이버(Adam Driver)이기 때문이다. (드라이버가 버스 드라이버 역을 맡았음^^) 위 사진을 클릭하면 폭포를 배경으로 한 영화의 마지막 장면을 유튜브로 보실 수 있지만, 특별한 기대는 하지 마시길~ "아하!"

집으로 돌아가는 길은 30분 더 운전해서 통행료를 30불 가까이 절약하는 펜실베니아 내륙을 지나는 경로였는데, 문제는 펜실베니아 주의 기름값이 유달리 비싸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딱 맞춰서 기름을 싸게 파는 휴게소 체인점인 러브스(Love's)가 나와줘서 감사한 마음에 한 장 찍어 놓았다. 그리고 마지막 사진으로 이걸 올리고 보니, 포스팅의 처음과 끝에 빨간 하트(♥)가 등장해 수미상관(首尾相關)을 이루며 이 날의 여행기가 잘 매조지는 느낌이다...ㅎㅎ
아래 배너를 클릭해서 위기주부의 유튜브 구독하기를 눌러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