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곳을 다녀와서 첫번째로 들었던 의문은 이러한 행사가 왜 당시 대도시였던 뉴욕이나 보스턴에서 열린게 아니라, 뉴욕주 북부의 작은 도시에서 열렸냐 하는 점이었다. 그 해답의 배경은 19세기 중반 미국에서 로체스터(Rochester)를 중심으로 한 온타리오 호수 남쪽의 산업지대가 다양한 개혁운동과 노예제 반대운동의 중심지로, 당시 주민들의 의식이 가장 진보적이었던 지역이라는데 있다. 그래서 위기주부의 업스테이트 뉴욕 2박3일 여행의 세번째 목적지가, 로체스터에서 동쪽으로 50마일 정도 떨어진 세네카 폴스(Seneca Falls)였던 것이다.

해리엇터브먼 NHP 구경을 마치고 국도 20번을 타고 20분 정도 서쪽으로 달려서, 핑거레이크들 중에서 가장 길고 면적도 사실상 공동 1위인 카유가 호수(Cayuga Lake) 북쪽의 세네카폴스 중심가로 왔다. 뉴욕주 교육부에서 세워 놓은 안내판이 보이는데, 여성의 권리를 주제로 공개토의가 진행된 현대적인 컨벤션 대회로는 미국뿐만이 아니라 전세계 최초라 보는 것이 타당하단다.

1848년 7월 19일부터 이틀간, 여기 웨슬리언 예배당(Wesleyan Chapel)에서 도합 300명 정도의 남녀 참석자들이 모여서 회의를 한 후에, 미국 독립선언문을 차용한 "모든 남자와 여자는 동등하게 창조되었다(All men and women are created equal)"라는 주장을 포함한 <Declaration of Sentiments>를 채택하게 된다. 참고로 아주 낡아보이는 벽 일부만 당시 예배당의 잔재이고, 깨끗한 건물 대부분은 2011년에 완전히 복원된 것이다.

여성인권 국립역사공원(Women's Rights National Historical Park)을 여기에 만드는 법안은 1980년에 일찌감치 통과되었지만, 벽화가 그려진 비지터센터는 1993년에야 문을 열었고 대부분의 복원사업은 2000년대 들어서 진행되기 시작했단다. 특히 1998년에 세네카폴스 선언 150주년 행사가 여기서 열릴 때, 당시 영부인이던 힐러리 클린턴이 참석해서 연설을 한게 공원을 알리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고...

이 때 출입문 왼쪽에 붙어있는 종이가 뭔지는 시리즈 전편들을 보신 분이라면 이제 말 안해도 잘 아실테고, 다행히 닫힌 문 좌우로 큰 유리창이 있어서 살짝 안을 들여다 볼 수 있었다. (구글맵으로 위치를 보시려면 클릭)

비지터센터 내부에서 유일하게 볼만한 전시가 컨벤션 참가자 20명을 실물 크기로 만든 <The First Wave>라는 청동 조각품이라는데, 안에 못들어가는 대신에 이렇게 유리창을 통해서 가장 핵심적인 6인의 '색칠놀이' 벽화를 보는 것으로 퉁을 쳤다.^^ 그림 제일 오른편에 그려진 남성은 그 전해에 로체스터로 이주해서 노예제 폐지 활동을 하던 프레더릭 더글러스(Frederick Douglass)로, 자신이 발행하는 신문에 컨벤션이 개최됨을 알리고 유일한 흑인으로 참가해서, 대회 이틀째 가장 논란이 된 여성의 참정권을 결의안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연설을 해서 이를 관철시켰다.

노예해방론자로 '19세기에 가장 사진이 많이 찍힌 사람'이란 타이틀도 가지고 있는 프레더릭 더글러스에 대해서는 워싱턴DC에 있는 그를 기리는 국립사적지 방문기를 클릭해서 보시면 된다. 아래쪽의 책은 컨벤션을 제안하고 주도한 엘리자베스 스탠턴(Elizabeth Cady Stanton)이 말년에 여성의 관점에서 성경을 해석한 책으로, 베스트셀러가 되면서 동시에 19세기말에 여성운동의 분열을 야기하기도 했단다.

맞은편 안내판에 색칠놀이에 등장했던 여성 5인의 사진이 있는데 가운데가 스탠턴이고, 제일 오른쪽이 필라델피아에서 방문한 루크레시아 모트(Lucretia Mott)이다. 두 여성은 1840년에 런던에서 열린 제1차 세계 노예제 폐지대회에 남편들과 함께 참여하면서 처음 만났는데, 여자는 방청만 허용되고 토론과 투표는 허용되지 않자, 미국으로 돌아오면서 함께 여성 평등권 운동을 하기로 의기투합한다. 그 후 스탠턴이 보스턴에서 여기로 이사했고, 모트가 남편과 함께 인근 오번(Auburn)에 있는 여동생 집을 방문해있는 동안에 세네카폴스에서 급히 컨벤션을 열기로 한 것이었다.

운하 건너편에 있다고 공원 지도에 표시되어 있던 스탠턴의 집을 찾아가기 위해 차로 다리를 건너는데, 딱 봐도 여성인권과 관련이 있어 보이는 커다란 벽화가 정면에 있어서 빨간불에 사진을 찍었다. 1848년의 여성이 현대의 여성에게 불꽃을 전달하는 모습의 <The Flame Keepers>란 제목의 그림으로, 보도 위에 여성 벽화가를 소개하는 안내판이 작게 보이는데, 정확히 불과 한 달전에 새로 완성되서 반짝반짝했다.

운하를 따라서 추가로 관련된 동상들이 있다고 해서 잠시 차를 세우고 도로를 건넜다. 앞서 언급한 150주년을 기념해서 뉴욕 주에서 설치한 이 동상은 미국 역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 운동가로 여겨지는 수잔 앤서니(Susan B. Anthony)가 1851년에 여기서 가운데 여성의 소개로 스탠턴을 처음 만나는 것을 묘사하고 있다.

좌우의 둘은 이후 50년 이상 여성운동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동지로 함께 활동하며, 1869년에 여성 투표권 획득을 목표로 하는 전국여성참정권협회(National Woman Suffrage Association, NWSA)를 공동 설립한다. 그런데 자꾸 동상들 사이로 보이는 호숫가의 으리으리한 성같은 저택에만 눈길이...

가격이 얼마나 할까 궁금해서 찾아보니, 개인 집이 아니라 교회 건물이어서 그냥 넘어갔다~ 그리고 운하가 지나가는 앞쪽의 호수 이름도, 얼마 전에 한국 뉴스에 자주 나왔던 명품 목걸이의 브랜드와 같은 반클리프(Van Cleef)로 지도에 표시되어 있던게 뇌리에 남았다.^^ 주차한 곳으로 돌아가니 앞서 여성 3명의 동상에 비해서 아주 초라해 보이게 남성 3명을 묘사한, 미국 독립 후부터 1920년에 여성 참정권 수정헌법이 통과될 때까지의 연대기가 둘러져 있는 <Passage> 조형물도 있었다.

폭탄머리와 턱수염의 오른쪽은 프레더릭 더글러스이고, 가운데는 루크레시아의 남편이자 1848년 컨벤션의 둘쨋날 의장을 맡았던 제임스 모트(James Mott)로, 1864년에 최초의 남녀공학 대학들 중의 하나로 개교해서 지금도 리버럴아츠 칼리지 4대 명문을 일컫는 W.A.S.P. 중의 하나인 스와스모어 대학(Swarthmore College)을 다른 퀘이커 교도들과 함께 설립했다. 그리고 왼쪽은 20세기초에 여성 참정권 운동을 강력히 지지했던 급진주의 정치 운동가인 맥스 이스트먼(Max Eastman)이란 인물이란다.

커다란 국립공원청 로고를 말뚝에 박아놓은게 눈에 띄던 엘리자베스 스탠턴의 집 앞에 차를 세웠다. 그녀는 7명의 자녀를 키웠기 때문에 대부분의 시간을 이 집에서 보내며 주로 사상가, 작가, 전략가의 역할을 맡았고, 반면에 독신이었던 앤서니는 조직가, 운동가, 연설가로 전국을 누비며 그녀의 목소리를 전달하는 상호 보완적인 역할분담이 자연스럽게 만들어졌단다.

왼쪽의 스탠턴은 1902년에, 오른쪽의 앤서니는 1906년에 둘 다 86세로 사망했지만, 여성의 참정권을 명시한 미국 수정헌법 제19조가 1920년에 통과되면서 그녀들의 반세기에 걸친 노력이 마침내 결실을 맺게 되는데, 이와 관련해서는 워싱턴DC의 캐피톨힐에 있는 벨몬트·폴 여성평등(Belmont-Paul Women's Equality) 준국립공원 방문기를 클릭해서 보시면 된다. 이렇게 또 누가 시키지도 않았고 아무도 알아봐주지 않는 미국역사 공부를 실컷 하게 만들고는 다음 목적지로 출발하기 전에 세네카폴스에서 유달리 기름값이 쌌던 주유소를 찾아갔다.

원주민이 운영하는 곳으로 건물 안에는 작은 카지노도 있었고, 광고판의 'Seneca Select'는 미동부 원주민들이 소유한 담배 브랜드로 공장이 근처에 있단다. 텅텅빈 기름통을 가득 채우고, 국립 공원 비지터센터들이 문을 닫아서 여기 화장실도 이용한 후에, 벌써 6년이나 지난 추억인 딸을 대학교에 입학시키고 보스턴에서 나이아가라 폭포로 향할 때 달렸던 90번 고속도로를, 이번에는 반대방향인 동쪽으로 소나기를 맞으며 달려서 찾아간 나혼자 2박3일 듣보잡 여행의 다음 목적지는 로마(Rome)에 있는 미국 독립전쟁 유적지였다.
아래 배너를 클릭해서 위기주부의 유튜브 구독하기를 눌러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